프로그램
언어 : 영어/한국어 (동시통역)
시간 | 주요 내용 | |
---|---|---|
10:00 ~ 10:15 |
|
|
10:15 ~ 10:20 | 기념 촬영 및 장내 정리 | |
10:20 ~ 10:50 |
|
|
10:50-12:30 | 제1세션 : 지난 20년의 회고- 2003 협약과 무형유산 보호의 키워드 (좌장: 함한희, 무형문화연구원장) |
|
발표 1 |
무형유산 보호의 키워드: 문화다양성 (크리스티나 아메스쿠아 차베스, 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 교수) |
|
발표 2 |
교실에서 만나는 무형유산 -살아있는 유산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증진하는 흥미로운 학습활동 (바네사 아킬레스, UNESCO 무형유산보호협약 퍼실리테이터/ 플로리안 엥글브레히트 물리학 교사) |
|
발표 3 |
2003 협약과 글로벌 역량강화 프로그램: 그리스와 이탈리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베네데타 우베르타치, 변호사/밀라노 비꼬까대학교 유럽연합법 및 국제법학과 종신 부교수) |
|
발표 4 |
재난 이후 무형유산과 공동체 복원: 일본 후쿠시마현 소마 노마오이와 오보리 소마야키 사례를 중심으로 (이시무라 토모, 도쿄 국립문화재연구소 무형유산부 부장) |
|
발표 5 |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에서의 평화와 씨름의 공동 등재 (박형빈,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장) |
시간 | 주요 내용 | |
---|---|---|
14:30 ~ 15:50 | 제2세션 : 포용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노력 (좌장: 아마레스와르 갈라, 포용적박물관 및 아난트 국립대학교 지속가능한 유산 개발 유네스코 석좌 위원) |
|
발표 1 | 2003 유네스코 협약을 통한 여성의 권한 강화에 기여 (모에 치바, 문화정책 기획자) |
|
발표 2 |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미디어의 시각: 효과적인 옹호자인가 오해의 조장자인가? (프랭크 프로스챤, 스미소니언 민속문화유산센터 연구원) |
|
발표 3 | 동남아시아가 공유하는 쌀 문화의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노력 (알렉산드라 드니스, 문화인류학자, 치앙마이대학교 여성학과 교수) |
|
발표 4 | 유네스코 2003 협약 20주년: 무형유산 보호와 협약 이행에 있어 NGO의 역할 ‘We love living heritage’ (요린 네이링크, 벨기에 플랑드르 유네스코 위원회 부위원장) |
|
15:50 ~ 16:20 | 질의응답 |
시간 | 주요 내용 | |
---|---|---|
10:00 ~ 11:45 | 제3세션 : 앞으로의 20년을 위한 새로운 이니셔티브 (좌장: 한건수, 강원대학교 교수) |
|
발표 1 | 보호 조치방안으로서의 무형유산의 경제적 이윤 창출 (쯔엉 빅 한, 유네스코 북경사무소 문화담당관) |
|
발표 2 | 도시맥락에서의 무형유산과 그 지속가능성 (멜리사 탄, 싱가포르 문화유산위원회 문화유산정책연구과장 ) |
|
발표 3 | 한국의 무형유산 보호에 있어 디지털 기술의 활용 현황과 과제 (김용구,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진흥과장) |
|
발표 4 |
유네스코의 청년 지원을 통한 살아있는 유산의 보호 (몬타칸 수바나탑 키티파이살실프, 유네스코 방콕사무소 문화담당관)
|
|
11:45 ~ 12:15 | 질의응답 | |
12:15 ~ 14:00 | 점심 |
시간 | 주요 내용 | |
---|---|---|
14:00 ~ 15:40 | 제4세션 : 아시아·태평양지역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키워드 (좌장: 러스탐 무자파로브, 카자흐스탄 무형유산위원회 부위원장) |
|
발표 1 | 동티모르 전통직물 타이스 보호 계획 (아우구스토 살시냐, 유네스코 동티모르 국가위원회 문화담당관) |
|
발표 2 |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부탄의 노력 (예시 렌덥, 부탄국립도서관아카이브, 수석 연구사서) |
|
발표 3 | 한국의 유네스코 무형유산 보호협약 체제의 도입과 도전 (오창현, 국립목포대학교 교수) |
|
발표 4 | 실크로드 노마드 문화 보호를 위한 전통 문화 축제 추진 (카밀라 켄제타에바, 유네스코키르기스스탄위원회 문화담당관) |
발표 5 | 피지 원주민의 리우-무리 세계관을 활용한 현대 피지의 전통 공간 복원 및 무형유산 보호 (아나사 타와케, 이타우케이 언어문화연구소 연구원) |
15:40 ~ 16:00 | 질의응답 | |
16:00 ~ 16:30 | 렙업 세션 좌장: 김삼기,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회 부위원장 |
|
16:30 ~ 16:40 | 폐회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