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자
유철인 교수는 미국 일리노이대학 어바나-샴페인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제주대학교 인류학 명예교수이며, 콘텐츠 원형 연구소 소장을 맡고있다그는 한국 문화 인류학회, 한국 구술 역사학회, 제주학회를 포함한 여러 학회의 회장을 지냈으며, 제주 해녀 문화를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테스..
자세히보기
로라제인 스미스(Laurajane Smith) 교수는 호주국립대학교의 인문예술연구소의 유산과 박물관학 센터장이며 호주 사회과학학술회 회원이다. 또한 비평유산학회(Association of Critical Heritage Studies)를 설립하였으며 2009년부터 ‘국제유산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편집장을 맡고 있다. 스..
자세히보기
한경구 박사는 현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문화인류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강원대학교에서 인류학을 강의했으며, 국민대학교에서는 학장으로 재직하면서 국제학부 발전을 도왔다. 2009년 서울대학교에 새로 개설된 자유교양학부에서 강의하였으며 20..
자세히보기
자넷 블레이크 박사는 테헤란의 샤히드 베헤쉬티(Shahid Beheshti) 대학교의 인권법 부교수이며 대학 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최고교육기관(Centre of Excellencn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의 구성원이다.
자세히보기
디팍 쿠마르 베라(Deepak Kumar Behera) 교수는 현재 오디샤(Odisha)의 칼링가 사회과학연구원(Kalinga Institute of Social Sciences)의 부원장이다. 그는 오디샤의 삼발푸르(Sambalpur)대학교, 베람푸르(Berhampur)대학교 그리고 라젠드라(Rajendra)대학교의 부총장을 역임했다. 또한 인도 삼발푸르 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자세히보기
육소영 교수는 이화여자대학교와 블루밍톤의 인디애나대학교를 졸업 후 세인트루이스의 워싱턴 대학교에서 J.S.D(Juris Scientiae Doctoris, 법무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1년부터 그녀는 대한민국의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지적재산권법 강의를 하고 있으며 현재 동 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원장이다. 지적재산권..
자세히보기
피터 스트래서 교수는 오스트리아의 인스부르크(Innsbruck) 대학교와 영국 노팅험(Nottingham) 대학교에서 오스트리아 법, 유럽 민족학 그리고 국제관계학을 전공했다. 오스트리아의 한 박물관에서 큐레이터로 일한 후 1997년부터는 문화유산, 특히 세계유산 분야의 국제기구(유네스코, OSCE, EU)에서 일했다. 그는 유네스코..
자세히보기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를 거쳐 일본국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에서 박사학위 취득하였다. 현재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일본과 한국 등 동아시아의 민속과 문화자원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오고 있으며,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도시제례연구」 「일본의 밥상문화에 대한 고찰」..
자세히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1985~2015),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주 전공은 언어인류학, 사회언어학, 인지인류학이며, 한국의 언어문화(linguaculture)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해왔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한국의 언어 민속지: 강원도 편』(2021),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 편』(2016..
자세히보기
야마 요시유키(Yama Yoshiyuki) 교수는 사회학 박사로 현재 일본 관서학원대학교 재난지역 재생·재성장 및 거버넌스연구소(Institute of Disaster Area Revitalization, Regrowth and Governance) 소장이다. 또한 교토대학교 방재연구소, 도쿄대학교, 국립민족학박물관, 국제일본학연구센터, 베이징 국제관계대학교, 베이징..
자세히보기
와얀 윈디아(Wayan Windia) 교수는 인도네시아 발리의 우다야나대학교(Universitas Udayana) 수박 연구센터(Subak Research Centre)의 연구원이다. 2002년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의 가다 마다(Gadjah Mada)대학교에서 발리의 수박 시스템에 대한 논문을 써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발..
자세히보기
미셸-니콜슨 샌즈(Michelle Nicholson-Sanz)는 페루계 칠레인으로 응용연극, 문화유산, 생태학 및 인종에 걸친 다학제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연구자이자 전문가다. 그녀는 런던대학교(University of London) 퀸 메리(Queen Mary)에서 연극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런던대학교 왕립중앙언어연극학교(Royal Central Schoo..
자세히보기
레카 냥티(Rekha Nianthi) 교수는 페라데니야대학교(University of Peradeniya, UoP) 지리학과에 재직 중이다. 레카 니안티 교수는 태국 AIT에서 석사학위를, NEHU-인도(NEHU-India)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포르투갈의 민호(Minho) 대학교에서 박사후 자격을 취득했다. 또한 일본 교토대학교의 IEDML-GSGES의 객원 연구원..
자세히보기
의료인류학자로서 사회문화와 의료의 상호관계, 동아시아의학, 몸의 인류학, 존재론적 전회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 한국, 미국, 중미의 벨리즈에서 인류학적 현지조사를 진행하였다. 현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한의원의 인류학: 몸-마음-자연을 연결하는 사유와 치유』(20..
자세히보기
주디스 파콰르(Judith Farquhar)는 현대 중국의 전통 의학, 대중문화 그리고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관심 있는 인류학 분야는 의학 인류학, 지식과 구현의 인류학, 과학 기술학, 비평 이론과 문화학, 그리고 읽기, 쓰기, 번역의 이론과 실제다. 그는 Knowing Practice: The Clinical Encounter of Chinese ..
자세히보기
지타 D. 판젤리난(Zita D. Pangelinan)은 2004년 전통 치료법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하야 문화유산 및 발전 재단(Håya Cultural Heritage & Development Foundation)의 공동창립자이자 이사장이다. 과거 18년 동안 지타 이사장은 마라나 제도(Marana Islands) 전역에서 전통 치료사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관찰하면서 그..
자세히보기
프라포즈 파트라카드(Prapoj Petrakard) 박사는 태국의 민속치유협회(Folk Healer Network Society) 자문위원이자 전통타이의학연합회 회장, 장애어린이재단 이사장이다. 비록 수련의이자 정형외과 의사가 본업이지만 오랫동안 그는 누아드 타이(Nuad Thai) 지식과 관습 그리고 타이 전통 지식의 발전에 관여해왔다. 2009년..
자세히보기
마틴 앤드레이드 페레스(Martín Andrade-Pérez)는 UNESCO 무형문화유산보호위원회를 지원하는 콜롬비아 인증 NGO인 에리가에 재단(Erigaie Foundation)의 연구원이다. 그는 15년 이상 보호계획, 등재신청서 그리고 목록작성과 같은 공동체 기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등 ICH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다. 그는 또한 무형..
자세히보기
라샤 바룸은 다마스커스(Damascus)대학교에서 고고학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문화유산 자원관리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녀는 시리아 국내외의 많은 연구논문 집필에 참여했으며 최근에는 시리아 사이버대학교 교과과정의 하나로 문화관광 서적을 공동 집필했다. 2017년 이후 유네스코 인증을 받은 시리아의 NGO ‘시리아발..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