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이전포럼

프로그램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쇄

프로그램

언어 : 영어/한국어 (동시통역)

1일차 안내
시간 주요 내용
14:00 ~ 14:15 개회식
14:15 ~ 14:30 기조발표 :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의하며
By 에르네스토 오토네 유네스코 문화사무총장보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진흥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 특히 신종 바이러스 대확산이라는 혼란 속 무형문화유산의 현황과 보호 사례를 탐색.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의해나가는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정책의 비전 제시.
14:30 ~ 16:00 1세션: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의하며
By 천진기 前 국립민속박물관장 [1일차 좌장]
14:30 ~ 14:45 발표 1 : 인류세와 무형문화유산
By 박범순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소장
인간의 활동이 지구 활동이나 지구 역사에 영향을 끼치기 시작한 시대를 뜻하는 인류세. 과학자들의 담론을 넘어 우리의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와 생태계 문제, 그리고 질병. 지구가 인류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통해 무형문화유산의 미래와 가능성을 논의.
14:45 ~ 15:00 발표 2 : 자연과 공존하는 지속가능농업, 미크로네시아의 혼농임업
By 프란시스 레그 미크로네시아연방 야프 역사보존연구소 소장
1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혼농임업은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에서 주로 사용된 전통 농경 지식으로 홍수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숲의 토양을 안정화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임. 혼농임업으로 자연과 공존하는 미크로네시아의 지속가능농업 사례 제시.
15:00 ~ 15:15 발표 3 : 위험에 맞서는 무형유산, 눈사태 위험관리
By 마이클 브룬들 스위스 눈과 눈사태 연구를 위한 WSL 연구소 책임연구원
201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눈사태 위험관리는 알프스산맥 주민들의 정체성이며 지역공동체의 주요 관심사. 수 세기에 걸쳐 축적한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위험에 대비하는 알프스산맥 주민들의 자연재해관리 방식을 고찰.
15:15 ~ 15:30 발표 4 : 생태 인문학 속의 무형유산- 태평양 지역의 토착민 문화를 중심으로
By 엘리자베스 들러그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UCLA) 교수
태평양 지역 토착민들의 자연에 대한 인식과 공존방식에 관한 연구가 인문학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기회. 생태 인문학이라는 분야를 통해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속 무형문화유산을 바라보는 기회를 제시.
15:30 ~ 16:00 패널토론1
2일차 안내
시간 주요 내용
14:00 ~ 14:30 특별강연 : 인류의 미래와 생태적 전환, 그리고 무형문화유산의 역할
By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前 유엔생물다양성협약 의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생태적 전환의 중요성 논의. 자연의 소중함은 물론 인간과 자연 속 생명체들과의 공생의 중요성을 강조. 자연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인류의 무형문화유산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사회생태학의 시각으로 화두 제시.
14:30 ~ 16:00 2세션: 인류의 위기극복과 무형문화유산
By 한건수 강원대학교 교수 [2일차 좌장]
14:30 ~ 14:45 발표 1 :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무형문화유산 – 토착전통지식체계를 중심으로
By 치디 오구아마남 캐나다 오타와대학 교수, ABS Canada 센터장
인류의 소중한 무형문화유산인 토착지역지식. 오랜 시간을 통해 전해지고 축적된 토착지역지식이 생물다양성에 기여한다는 것을 과학 분야에서 증명하려는 사례들을 탐색. 토착지역지식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연구와 정책을 탐색하는 기회 마련.
14:45 ~ 15:00 발표 2 : 무형문화유산으로 보는 인도의 재해저감관리 사례
By 라훌 고스와미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퍼실리테이터
인도 히말라야 지역과 주변 국가들의 무형문화유산인 재해저감관리와 물 관리 방식 등의 실사례를 탐색.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무형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국의 관련 전문가와 실제적인 활용방안과 결과에 대해 논의하는 지식 공동체의 현황을 논의.
15:00 ~ 15:15 발표 3 :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바다윤리 : 일본, 호주, 미국의 전통어업 사례를 중심으로
By 쿠미 카토 일본 와카야마대학교 교수
전통적으로 자연자원을 활용하는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윤리의식을 고찰. 자연의 ‘창조적인 보존’이라는 환경윤리 개념을 소개하고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무형문화유산의 일본 및 호주의 사례를 공유.
15:15 ~ 15:30 발표 4 : 해안 생태계 복원력 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 동티모르 지역주민의 문화양식 사례를 중심으로
By 시니키네쉬 베이옌 짐마 유엔환경계획 지역조정관
기후변화가 해안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사회 복원력(Resilience) 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오랜 노력을 탐색. 변화로 인한 일련의 재해들과 함께 살아가며 환경과 공존하는 지역주민의 문화양식을 살피는 일은 국제협력에 중요한 요소이다. 동티모르 지역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국제사회의 대처 현황을 논의.
15:30 ~ 16:00 패널토론 2
3일차 안내
시간 주요 내용
14:00 ~ 14:30 특별강연 : 무형문화유산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동체의 과제
By 마이클 메이슨 스미스소니언연구소 민속생활문화유산센터장
세대를 통해 전승되고 축적되어온 무형문화유산은 인간 사회가 자연환경과 상호교류할 수 있도록 해주고 환경적 지속가능성에 기여함. 이러한 기여에 토착민들과 지역공동체들의 중심 역할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
14:30 ~ 16:00 3세션: 일상 속의 무형문화유산, 새로운 시대를 향하여
By 윤금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3일차 좌장]
14:30 ~ 14:45 발표 1 :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NGO의 역할과 환경적 지속가능성
By 그레고리 미첼 퍼시픽 블루 재단 대표,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UCSD) 명예교수
피지 지역주민들에게 있어서 전통 선박은 그들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 중 하나. 글로벌 경제와 세계화의 영향으로 전통선박제작 인구가 급감하고 있는 현실. 피지의 전통 선박제작기술를 살펴봄으로써 무형문화유산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고찰하고, 이에 기여하는 NGO의 역할도 탐색.
14:45 ~ 15:00 발표 2 : 자연과 무형문화유산, 그리고 법
By 아니타 바이바드 라트비아 문화교육원 교수
쌍방의 연관성을 가진 자연과 무형문화유산과의 관계를 성찰. 이러한 상호작용 가운데 무형유산과 자연을 보호하는 데 있어 법이 할 수 있는 역할 탐구. 특히 환경법상 규제 안에서의 무형유산 보호 관련 입법 사례를 탐색.
15:00 ~ 15:15 발표 3 : 코로나 시대의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국가의 역할
By 에릭 제루도 필리핀 산토토마스대학교 교수
코로나 팬데믹이 무형문화유산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진흥을 위한 국가 정책의 필요성을 필리핀의 사례를 통해 논의.
15:15 ~ 15:30 발표 4 : 우리, 다함께 무형문화유산
By 무형문화유산청년네트워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문화유산청년네트워크
무형문화유산 분야에 있는 청년들이 자연과 무형문화유산 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해 각기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사례에 관해서 이야기를 나눌 예정.
15:30 ~ 16:00 패널토론 3 및 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