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자
팬 징(景 峰) 유네스코 방콕사무소 문화부장은 현 직책을 맡기 전,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파리) 아시아태평양 부서장을 역임하며 47개 이상 회원국의 1972년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총괄하였다. 또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의 선임관리위원으로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대규모 국제 전문가 팀을 관리하였다. 그는 세계유산협..
자세히보기
마리 맥컬리프(Marie McAuliffe)는 국제이주기구(IOM)의 이주 연구 및 출판부문장이자 동 기구의 대표 보고서인 세계이주보고서 편집장이다.25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이주 전문가로 프로그램 관리자, 정부 고위관료 및 연구자로 활동하고 이주에 관한 학문 및 정책 영역에서 다수의 출판물과 편집물을 발표하였다. 여러 과학..
자세히보기
김경학 교수는 인도 자와할랄 네루대학교(Jawahrlal Nehru University)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5년부터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와 대학원 디아스포라학과 교수로 있으며, 전남대학교 글로벌 디아스포라 소장을 맡고있다. 그는 캐나다, 호주, 피지의 인도인 디아스포라를 연구하였고, 국내의 고려인과 네팔..
자세히보기
알리산드라 커민스(Ali ssandra Cummins)는 바베이도스박물관역사협회 관장이자 국제양심유적연맹(ICSC) 이사이다. 카리브해 문화유산, 박물관 개발, 시각예술 분야의 인정받는 전문가로 현재 바베이도스국립미술관과 바베이도스 유네스코 국립위원회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4~2010년에는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회장..
자세히보기
폴 뮬란은 현재 북아일랜드 국립 문화유산 복권 기금 이사로 지난 30년 간 문화유산, 관광, 보존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였고 문화유산과 관련된 주제로 저술, 강연, 방송활동을 하였다. 그는 퀸즈 대학,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울스터 대학에서 수학하였다. 그의 박사학위 논문은 분열된 사회에서 과거를 기억..
자세히보기
아자야 사후(Ajaya K. Sahoo) 교수는 인도 하이데라바드대학교 인도디아스포라연구센터(CSID)에 재직 중이다. 그의 연구 관심 분야는 국제 이주, 남아시아 디아스포라, 초국가주의, 종교 등이며 최근 출간한 저서로 『루트리지 남아시아 이주민 핸드북』과 『루트리지 아시아 초국가주의 핸드북』이 있다. 현재 남아시아디아..
자세히보기
사이퍼 라시드(Saifur Rashid) 박사는 1993년부터 방글라데시 다카대학교에서 인류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연구 관심 분야는 문화 유산, 토착 지식, 천연자원 관리, 민족성, 이주, 시각적 기록화이며 다수의 책을 출간하고 여러 연구논문을 학술지에 발표하였다. 최근 발표한 저서 및 공동 저서, 보고서 목록은 다음과..
자세히보기
천진기 박사는 현재 국가유산청 무형유산위원장으로 2011년부터 2018년까지 국립민속박물관 관장을 맡았으며 2020년 6월까지 국립전주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 , 등이 있다.
자세히보기
장정아 인천대학교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한 문화인류학자로 현재 인천대학교의 중국학술원장을 맡고 있다. 중국 본토 윈난성, 허베이성, 안후이성, 저장성, 홍콩에서 인류학 현장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관심 분야는 중국 본토 및 홍콩의 민족주의와 문화유산, 시민권과 정체성, 국경과 국경지역의 정치이다..
자세히보기
문종현 팀장은 현재 KOICA ESG팀의 팀장으로 재직 중이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9년부터 KOICA 본부 및 해외사무소에서 경력을 쌓으며 다양한 국제보건 및 문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페루와 캄보디아의 모자보건 및 아동 건강 프로젝트, 글로벌 보건 안보 프로젝트 등을 수행하였고,..
자세히보기
올루푼케 오군데루(Olufunke Ogunderu)는 방글라데시 국제이주기구(IOM) 프로젝트 담당관이다. 동 기구의 정신건강 및 심리사회적 지원(MHPS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에서 로힝야 문화 보존을 위한 심리사회적 프로젝트인 로힝야문화보존센터(RCMC) 운영을 관리하고 있다. 다양한 환경과 여러 국가에서..
자세히보기
다토 로날드 간은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폭넓은 참여와 기여로 잘 알려진 저명한 인물이다. 2023년에는 말레이시아 국가유산부가 국가유산 전문위원회 위원으로 임명하였다. 또한 ‘왕캉 의례 인류 무형문화유산 지정 3주년 기념행사’의 디렉터로도 활동했다. 말라카에서 열린 ‘지역사회 간 시민사회 구축을 위한 대화’..
자세히보기
키지 타닌(Kizzy Tahnin)은 유네스코 다카사무소 문화담당관이다. 유네스코에서의 10년간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유산과 미래 중심의 창의 산업을 보호하고 촉진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설계하고 이행해 왔다. 그녀에게 문화는 단순한 경력이 아닌 열정의 대상이며 문화와 공동체, 실무자를 위한 지속 가능한..
자세히보기
박수영 팀장은 2012년 한국수자원공사에 입사하여 수자원 및 상수도 분야의 운영과 건설, 댐 유역 수질환경관리와 기획 등 물 관리 전문기관에서 다년간 프로젝트를 담당했다. 이를바탕으로 2024년부터 국내 최초 물 분야 유네스코 카테고리 2 센터인 ‘물 안보 국제연구교육센터’ 에서 글로벌 물 안보를 위한 다양한 협력..
자세히보기
중앙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국가유산청 무형유산과장,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연구기획과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퇴임 후 국가유산청 무형유산위원회 전통기술분과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자세히보기
류스케 코다니(Ryusuke Kodani)는 일본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방재센터의 학예연구사이다. 사이타마대학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을 전공하였으며 문화재 방재 및 민속문화재 연구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경험한 후 재해 시기의 지역 주민과 문화재의 관계에 대해 연구 중이며, 특히 복구 기간 동..
자세히보기
헤리 요가스와라(Herry Jogaswara)는 인도네시아 국가연구혁신기구(BRIN)의 고고학, 언어 및 문학연구소장이자 수석 연구원이다. 그는 인류학자로서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인간 생태학)이라는 관점에서 토착민, 이주, 지역 지식에 대해 30년 이상 연구해 왔다. 2022년부터는 고고학, 언어, 문학, 종교 유산 등의 문화유산..
자세히보기
아디 메레투이(Adi Meretui)는 피지에 본부를 두고 태평양 지역의 미술관, 도서관, 기록보관소, 박물관의 재난 위험 감소를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국제청방패위원회 태평양지역(Blue Shield Pasifika)의 회장이다. 또한 태평양제도박물관협회(PIMA)의 임시 회장이자 사무총장 대행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2017년 퇴직 때까..
자세히보기
사룰 아르슬란은 몽골 국가유산센터(NCCH)의 등록 및 기록부서 책임자로 2012년부터 무형문화유산 전문가로 근무해 왔다. 국가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기존 문화유산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무형유산과 그 전승자들의 목록 작성, 무형문화유산 데이터베이스의 보존 및 개선을 감독하는 일을 하고 있다. 무형문화유산의 ..
자세히보기
요코 노지마는 아시아 태평양 지부 무형문화유산 국제 연구 센터(IRCI)의 리서치 분야 팀장을 역임하고 있다. 2008년 하와이 마노아 대학에서 바누아투의 식품 기술과 도자기에 대한 연구로 인류학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에는 바누아투에서 문화유산 관련 연구를 이어갔다. 일본으로 돌아와서는 고고학자이자 유..
자세히보기
이관호 한국박물관교육학회장은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에서 종교민속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다음, 연세대학교 한국학과에서 민속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1992년부터 2023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사연구, 유물수집 및 관리, 전시, 박물관교육, 어린이박물관 등 박물관 전체 업무를 실무자..
자세히보기
이관호 한국박물관교육학회장은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에서 종교민속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다음, 연세대학교 한국학과에서 민속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1992년부터 2023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사연구, 유물수집 및 관리, 전시, 박물관교육, 어린이박물관 등 박물관 전체 업무를 실무자..
자세히보기
김명현은 전북대학교에서 문화인류학 석사를 취득하고 동 과정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한예연구사로 활동 하였으며, 현재는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에서 근무를 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재외동표 고려인을 대상으로 무형유산 교육을 운영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현지..
자세히보기
서진규 교육협력담당관은 경북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1988년부터 울산제일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면서 29년간 학생들을 가르쳤다. 2018년 7월 울산광역시교육청 정무특보(비서관)으로 채용된 후 고등학교 무상급식과 중·고교 신입생 무상교복 지원 등 교육복지 확대와 혁신교육지구 협약에 지자체의 협력과 참여를 이..
자세히보기
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연세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교토 도시샤대학 문화사학과, 코펜하겐 덴마크국립박물관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체류하면서는 박물관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독립기념관과 국립중앙박물관을 거쳐 현재는 국립민속박물관 섭외교육과에..
자세히보기
김경학 교수는 인도 자와할랄 네루대학교(Jawahrlal Nehru University)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5년부터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와 대학원 디아스포라학과 교수로 있으며, 전남대학교 글로벌 디아스포라 소장을 맡고있다. 그는 캐나다, 호주, 피지의 인도인 디아스포라를 연구하였고, 국내의 고려인과 네팔..
자세히보기
이재호 국제이주기구(IOM) 한국대표부 정책담당관은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 국제관계학 석사를(Master of International Affairs) 취득하였고 법무부 서울출입국외국인청에서 근무하였다. 2022년부터 국제이주기구 한국대표부에서 근무를 시작하여 정부부처와 시민사회단체 등..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