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이전포럼

프로그램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쇄

1일차 / 2024.10.17. (목)

10.17 목요일 1일차 프로그램 안내 (시간, 내용으로 구성)
시간 내용
10:00 ~ 10:20 개회식
  • 개회사 : 최응천, 국가유산청장
  • 환영사 : 김지성,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
  • 축 사 : 천진기, 국가유산청 무형유산위원장
  • 축 사 : 아이다 미스아일로바, 주한키르기스스탄 대사
10:20 ~ 10:40 기조발표

이주, 무형유산의 지평을 넓히다 (펭 징, UNESCO 방콕사무소 문화부장)

10:40 ~ 11:00 기념 촬영 및 장내 정리
11:00 ~ 12:00 제1세션 : 이주의 역사 속 인류의 삶의 기록으로서의 무형유산
(김경학,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 소장 및 문화인류고고학과교수)
  1. 도착의 수수께끼: 카리브해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무형유산
    (알리산드라 커민스, 바베이도스박물관 및 역사협회 관장 / 국제양심유적연맹 이사)
  2. 아일랜드 이주의 역사 속 무형유산의 전승과 보호
    (폴 물란, 북아일랜드 복권 기금 이사 및 아일랜드 무형유산 국가목록 전문가 자문위원회 위원)
  3. 계약 이주민에서 초국적자로: 인도인 디아스포라와 무형유산의 보호
    (아자야 사후, 인도 하이데라바드대학교 인도디아스포라연구센터 교수)
12:00 ~ 12:30 패널토론
  1. 사이퍼 라시드 (다카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2. 천진기 (국가유산청 무형유산위원장)
12:30 ~ 14:30 오찬
14:30 ~ 15:30 제2세션 : 이주 사회 포용의 수단으로서 무형유산의 역할
(장정아, 인천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 및 중국학술원장)
  1. 실향민의 물 접근성 향상을 위한 기후위기 시대의 적정기술 : 코이카 아제르바이잔 카흐리즈 복원사업
    (문종현, 한국국제협력단(KOICA) ESG 소통팀 팀장)
  2. 푸추안(Fuchuan)을 타고 난양으로 향하다: 바바뇨냐 문화와 왕캉 의식에 담긴 이주민들의 항해, 생존 그리고 문화유산
    (로날드 간, 말레이시아 국가유산국 문화유산 전문가 위원회 위원)
  3. 난민의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방글라데시 로힝야 문화 기억 센터 활동
    (올루푼케 오군데루, 방글라데시 국제이주기구(IOM) 프로젝트 담당관)
15:30 ~ 16:00 패널토론
  1. 키지 타닌 (유네스코다카사무소 문화담당관)
  2. 박수영 (유네스코 물안보 국제연구교육센터 대외협력 팀장)


2일차 / 2024.10.18. (금)

10.18 금요일 2일차 프로그램 안내 (시간, 내용으로 구성)
시간 내용
10:00 ~ 10:20 특별강연

이주에 대한 고차원의 의제: 이주와 미래를 위한 협약
(마리 맥컬리프, 국제이주기구(IOM) 본부 이주 연구 및 출판부문장 / 세계이주보고서 편집장)

10:20 ~ 11:20 제3세션 : 현대사회 이주의 모습과 무형유산의 새로운 지형도
(김삼기, (전)국가유산청 무형문화재위원)
  1. 동일본대지진 이후 케센누마시의 나미이타 호랑이춤의 전승환경 변화
    (류스케 코다니, 일본 국립문화재기구 문화재방재센터 학예연구사)
  2. 인도네시아 새로운 수도의 이동과 무형유산 보호의 과제
    (헤리 요가스와라, 인도네시아 국가연구혁신기구(BRIN) 고고학, 언어 및 문학연구소장)
  3.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는 태평양 지역의 무형유산보호 노력
    (아디 메레투이 라투나부아부아, 국제청방패 태평양위원회 위원장)
  4. 자연재해가 무형유산에 미치는 영향: 자연 현상 ‘조드’(Dzud)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룰 아르슬란, 몽골국가문화유산센터(NCCH) 유산기록과장)
11:20 ~ 11:50 패널토론

요코 노지마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국제연구센터(IRCI) 연구실장)
이관호(한국박물관교육학회장 및 ICOM 한국위원회 부위원장)

11:50 ~ 12:15 휴식
12:15 ~ 13:25 특별세션 : 한국내 이주에 대한 논의, 연구의 성과와 당면 과제
(좌장: 이관호, 한국박물관교육학회장 및 ICOM 한국위원회 부위원장)
  1. 중앙아시아 이주 고려인의 한국 재이주와 무형유산 전승의 과제
    (김명현, 국립무형유산원 공연협력과 주무관)
  2. 공존과 상생의 모델: 아프간 특별기여자 자녀 공교육 지원
    (서진규, 울산광역시교육청 교육협력담당관)
  3. 이주와 다문화: 국립민속박물관의 연구, 전시 및 교육 활동
    (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섭외교육과 학예연구관)
  4. 한국 내 이주 연구 개관과 이주 연구 주제로서의 무형유산
    (김경학,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 소장 및 문화인류고고학과교수)
  5. 이주사회 대한민국의 사회 통합
    (이재호, 국제이주기구(IOM) 한국대표부 정책담당관)
13:25 ~ 13:30 폐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