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이전포럼

소개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쇄

소개

2018 세계무형유산포럼이 국립무형유산원이 주최하고 사)무형문화연구원이 주관하여 전주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포럼은 ‘무형문화유산(ICH)과 평화’라는 주제로 무형문화유산의 가능성과 역할에 관한 논의의 새 장을 열 것입니다.

국립무형유산원(NIHC, https://www.nihc.go.kr)은 무형문화유산의 보전과 전승 및 진흥을 위해 연구, 아카이브, 전시, 교육, 공연, 보유자 지원 등의 다채로운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립무형유산원은 다양한 국가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 무형유산의 허브로써 발돋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포럼의 주관기관인 무형문화연구원(CICS, https://cics.center)은 유네스코 공인 NGO로서 개인, 집단, 공동체의 무형유산을 연구하고 문서 기록화 및 자문을 하는데 집중하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주제

유네스코 무형문화보호협약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가 인류사회가 닥친 각종 위기를 극복하고 평화를 구축할 수 있는 소중한 자원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각 나라마다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해야 할 상황이 조금씩 다르지만 보편적으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무형문화유산(ICH)과 평화’와의 관계에 집중하여 무형문화유산의 다양한 기능, 역할, 그리고 의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유네스코 무형문화보호협약은 여러 나라의 무형문화유산 연구와 보호 활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협약의 정신과 실천과제를 점검해보고, 앞으로 인류 평화를 위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자 합니다. 더불어 ‘무형문화유산 희망학’과 관련하여 앞으로의 전망과 지속가능성에 대해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포럼에서는 여러 사례를 중심으로 무형문화유산을 통한 상생과 평화에 대해 살펴볼 것입니다. 지중해의 많은 나라들은 음식 문화공동체를 통해 지속가능한 평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몽골은 무형문화유산 공동연구를 함으로써 문화적 유대관계를 형성했습니다. 또한 슬로바키아와 체코의 경우에도 ‘초지방적’ 예술언어를 창조적으로 계승하며 그들의 공동체성을 유지, 강화하고 있습니다.

무형문화유산 보호 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면서 개인과 단체 때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외교활동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나이지리아는 축제를 통해 평화로운 공생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택견 보존회는 여러 나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통 무예교육을 통해 한국의 문화를 알리고 있습니다. 이 밖에 다른 사례들을 통해 공공외교 관점에서 무형문화유산 보호활동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할 것입니다.

무형문화유산을 통해 나눔과 화합, 공감과 공유의 정신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풍류, 일본의 마쯔리, 오스트리아 공예를 통해 무형문화유산의 다양한 소통의 유형을 접할 수 있습니다.

우리 포럼에서는 이렇듯 ‘무형문화유산과 평화’라는 주제 하에 다음과 같은 이슈를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1) 무형문화유산(ICH)을 통해 인류의 평화가 어떻게 실현되어 왔는가? 구체적인 사례를 찾 아 보기로 한다.
(2) 이러한 과정 속에서 드러난 시사점이 무엇인가를 논의해 본다.
(3) 미래세대를 위해 무형문화유산을 통한 ‘희망과 평화’ 담론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확대하 려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가?

포럼의 구조

포럼은 다섯 가지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청된 분이 발표를 진행하게 됩니다. 관심 있는 연구자, 정책가, 유산 전문가들을 포럼에 초대합니다. 이번 포럼에서 참가자들의 독특한 경험과 관점을 공유하는 유익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포럼에서 무형문화유산을 통한 희망과 평화를 강조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많은 국가의 전문가, 학자 및 무형유산 관계자들이 무형문화유산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한 진취적인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이번 포럼에서 현존하는 문제들과 더불어 소통과 상생을 강조하는 무형문화유산 이슈와 담론들을 반영함으로써 생산적인 토론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포럼 사무국

  • 무형문화연구원(CICS)
  •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권삼득로 285 별관 1층
  • 전화: 1522-3146
  • 팩스: 063-277-4097
  • 메일: hhyunah@empas.com
  • 담당자: 황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