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이전포럼

프로그램

프로그램 소개

언어 : 영어/한국어 (동시통역)

1일차(9월 21일 수요일)

1일차 안내
시간 주요 내용
14:00 ~ 16:30 개회식 개회사 이경훈 국립무형유산원장
환영사 최응천 문화재청장, 김지성 ICHCAP 사무총장
축 사 김윤덕 국회의원, 우범기 전주시장, 팀커티스 유네스코 협약 사무국장
기조발표 전통지식이 갖는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로라 제인 스미스, 호주국립대학교 교수
현대 사회 속 전통지식의 역할
한경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
제1세션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전통지식의 보호와 전승
좌장: 유철인, 제주대학교 명예교수
발표 1 유네스코 협약: 원주민 공동체와 그들의 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잠재적인 수단
자넷 블레이크, 이란 샤히드 베헤시티 대학교수
발표 2 인도 오리사 부족 공동체의 토착 지식을 통한 자원 보존 및 활용
디팍 쿠마르 베헤라, 인도 칼링가사회과학연구소대학교 부총장
발표 3 전통지식의 보호와 전승: 지적재산권의 관점에서
육소영, 한국 충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발표 4 전통지식의 보호에 관한 국제적 논의와 시사점
피터 스트래서, 오스트리아 다뉴브대학교 문화재보호센터장
패널토론 1

2022년도 국립무형유산원 학술대회 일정

2022년도 국립무형유산원 학술대회 일정 안내
시간 주요 내용
10:00 ~ 12:30 국립무형유산원 학술대회: 한국의 전통 관개지식과 문화
사회: 안승택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교수
발표 1 수리문화유산과 전통지식
김재호(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발표 2 충남 아산시 신농씨들 구답보의 관개시설과 관개문화
김효경(겨레문화유산연구소)
발표 3 해안 간척지 농민의 환경 인식과 전통적 물 관리
양선아(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
발표 4 읍치 시가지 수호를 위한 종합 수리시설의 무형유산적 가치: 강원도 ‘횡성보’를 중심으로
최명환(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패널토론 1. 권봉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 김가람 목포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3. 오성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4. 강성복 충청민속문화연구소

2022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 일정

2022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 일정 안내
시간 주요 내용
14:00 ~ 16:00 특별강연 1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전통지식의 체계적 발견과 이해
왕한석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명예교수
제 2세션 전통지식과 지속가능한 물관리
좌장 : 임경택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발표 1 일본 전통 관개지식과 물 관리
야마 요시유키, 일본 관서학원대학교 교수
발표 2 인도네시아의 지속가능한 수박(Subak) 관개 시스템 : 힌두철학 ‘트리 히타 카라나’의 구현
와얀 윈디아 인도네시아 우다야나대학교 수박연구센터장
발표 3 물 관리에 관한 지식과 관습 : 페루 코롱고의 전통적인 ‘물 판관’ 제도
미셸 니콜슨-샌즈 영국 레버흄재단 연구원
발표 4 스리랑카 건조지대의 농업 관행과 물 관리에 관한 전통지식
레카 냥티 페라데니야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3일차

3일차 안내
시간 주요 내용
14:00 ~ 16:00 특별강연 2 무형문화유산으로의 전통의료
주디스 파콰르, 미국 시카고대학교 인류학과 명예교수
제3세션 전통지식으로의 전통의료의 이해와 발전방안
좌장: 김태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발표 1 괌의 ‘구마 요 암테’로 보는 토착적 치유에 대한 믿음의 회복
지타 판겔리난, 괌 하야재단 회장
발표 2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전통 치유 관습: 전통적인 타이 마사지, 누아드 타이를 중심으로
프라팟 파트라카드, 태국 민속치유협회
발표 3 콜롬비아 유루파리 재규어 샤먼의 치유적 전통 지식
마틴 앤드레이드 페레스, 에리게 재단 연구원
발표 4 시리아 위기 속 전통의료의 발전
라샤 바룸 시리아발전신탁기금 연구원